Life Style(39)
-
주택종류, 철근콘크리트, 목조(경량 목조주택), 경량철골, 조적, 한옥 장단점
요즘 전원주택이나 농막이나 주말주택 등 별도의 나만의 공간을 만들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 주로 수도권에 농막이라도 하나 가져다 놓고 주말이 되면 공기 좋은 농막에 가서 고기도 구워 먹고 불멍도 하고 싶은 욕구가 많다. 결국은 은퇴 후에나 아니면 빠른 시골생활을 위해서 농가주택부터 전원주택까지 검색도 많이들 하고 현장답사도 많이 한다, 그래서 오늘은 주택의 종류를 이야기해볼까 한다. 철근콘크리트 주택 말 그대로 철근과 콘크리트로 지은 주택이다. 아파트나 빌라 같은 공동 주택은 이 철근콘크리트로 건축을 하게 된다. 콘크리트는 강도가 매우 높지만 인장력이 약하기 때문에 철근과 혼합하여 상호 보완한다. 콘크리트는 양생시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양생 되는 동안 시간이 다소 소요되어 건축 시에 다소 시간이 오래 걸리는..
2021.12.05 -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세율 한방에 정리
부동산법이 문제인 대통령 정부들어서 총26번 변경되었다. 거의 3개월에 한번씩 새로운 부동산 정책이 쏟아져 나온것 같다. 그래서 절세를 위한 양도세 정리를 좀 해보자.. 1주택자 1가구 1주택의 경우 주택을 양도할 때 비과세지만 주택이 12억을 초과해서 매도하게 되면 초과분에 대해서 양도세가 발생한다. 비과세가 되려면 12억이하여야 하고, 실거주 기간이 2년을 채워야 비과세가 된다, 만약 다주택자라면 1주택이 된 시점(2023년부터)을 기준으로 2년보유 2년 실거주 요건을 갖추고 12억 이내로 매도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즉, 12억원 초과분에 대하여 양도세가 발생된다. 1가구1주택이라고 아무 생각없이 양도세 신고 안하면 큰일 나겠다. 2008년부터 9억원이였던 기준이 13년만에 12억으로 바뀌..
2021.11.29 -
생활속에서 절약해서 1억 모으기 도전 ~
생활하면서 아낄 수 있는 고정비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한다.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니 이글을 읽는 분들은 참고만 하시길.. 휴대폰 통신비 각 가정마다 스마트폰은 다들 사용할 것이고, 보통은 새 휴대폰을 구매하면서 무리하게 비싼 요금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게 무지 아까운 돈이라는 점... 요금제를 가입하면서 정해진 데이터를 모두 100% 소진해 가면서 사용하는가? 기본통화 시간을 모두 다 소비해서 통화하는가 ? 기본 문자를 초과해서 사용하는가 ? 대부분 약정된 요금제 한도를 다 채우지 못하고 대부분 사용자들은 매월 남은 데이터와 기본통화를 버리는 경우가 아마 대부분이지 않을까? 그럼 요금제를 내리자니 어쩌다 초과할 것 같은 불안감이 생기는가 ? 그런데 그런경우가 1년에 몇 번이 될 것이며 초과해서 사용..
2021.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