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28)
-
화장실 변기에서 물소리가 난다면,,,,, 변기 셀프 수리 방법
화장실에 가만히 앉아서 볼일을 볼 때, 자세히 들어보면 쪼르르~ 또는 똑똑~~ 하고 물소리가 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100% 변기 누수.. 그렇다면 수도요금 고지서를 확인해 본다. 예전보다 요금이 2배 또는 3배가 나왔다면 변기에서 물이 조금씩 새는 경우이다. 실내에서 발생한 누수는 수도요금 감면 대상이 아니므로 손해는 개인이...... 변기에서 물이 새는지 확인하는 방법 일단 변기 아래에 보면 수도꼭지가 변기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 수도꼭지를 잠근다. 그리고 약 10~20분 후 변기 물통 커버를 열어서 안에 물이 비어 있는지 확인한다. 나의 경우는 완전히 비어 있었다. 즉, 10분마다 변기 물을 24시간 내린 셈.. 그래서 수도요금이 많이 나온 것 변기 부품 교체. 변기는 용변기와 물통이 결합된..
2022.02.23 -
ORA-01261: Parameter db_recovery_file_dest destination string cannot be translated ORA-01262: Stat failed on a file destination directory
오라클 기동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날 때 ORA-01261: Parameter db_recovery_file_dest destination string cannot be translated ORA-01262: Stat failed on a file destination directory 터미널로 접속해서 기동해 보면..... SQL*Plus: Release 11.2.0.1.0 Production on Tue Feb 8 16:56:11 2022 Copyright (c) 1982, 2009, Oracle. All rights reserved. SQL> connect /as sysdba Connected to an idle instance. SQL> startup ORA-01261: Parameter db_r..
2022.02.08 -
스위치 A접점, B접점, C접점이란 무엇인가 ?
스위치나 릴레이 또는 타이머 등의 회로에는 단락과 쇼트 방식의 여러 형태의 스위치 형태가 존재한다. 간혹 전자 관련 모듈이나 기계식 스위치나 릴레이 등을 구입할 때 알아야 할 접점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일단 동작의 이해를 위해서 아래 그림을 참조하면 별다른 설명이 필요 없이 이해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접점 방식 종류 A접점(Arbeit contact)은 평소에 회로가 분리되어 있다가 스위치를 눌렀을 때 단락 상태의 회로가 하나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 B접점(Break contact)은 평소에 회라가 연결되어 있다가 스위치를 눌렀을 때 쇼트 상태의 회로가 단락 상태로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의미 C접점(Change-over contact)은 스위치를 눌렀을 때 한쪽은 쇼트상태로 존재하다가 다른 개..
2022.01.27 -
차동차 실내 온도계가 왜 없지 ??
대부분 차량에는 외부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계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차량 실내에는 실내 온도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부분 없다. 여름철의 경우에는 야외 주차 시 외부 기온 20도에서 차량 실내온도 60도까지 올라가는데 약 30분 정도뿐이 안 걸린다. 물론 차량 유리에 틴팅이 되어 있다면 온도가 올라가는 속도를 늦출 수는 있지만 지속적으로 태양광에 노출된 경우에는 차량 실내 온도가 올라가는 것은 막을 수가 없다. 겨울철의 경우에는 차량 안에서 먹나 남은 커피나 음료수도 꽝꽝 얼어 버리는 상황까지 초래를 한다. 여름철 차량 온도가 높은 경우에 적정 온도를 만들기 위해서 에어컨을 가동할 경우 꽤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겨울철도 쾌적한 온도로 만들기 위해서 히터를 사용하기 위해 어느 정도 긴 시간이 필..
2022.01.24 -
굴착기 용어 008, 017, 020, 035, 06
요즘에 농사용으로 중고 굴착기를 검색하다 봤는데, 숫자로 이야기 하더라, 예를들자면 02를 공투 굴착기 이렇게 이야기 하거나 017은 되야 작업이 어느 정도 됩니다 등등.. 무슨 외계인 암호인가 생각이 되어서, 나름 찾아 보았다. 일단 굴삭기라고도 불리는데 굴착기가 맞다. 면허증에도 굴착기라고 나온다. 굴삭기란 용어는 일본어 표기에서 나온듯 하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면허증이 필요해서 1월1일 부로 중장비 학원에 등록을 했다. 3톤 미만 굴착기랑 지게차 건설기계 조종사 면허를 발급 받으려고 거금을 들여 등록했다 ㅠㅠ 내 돈,,, 일단 008, 017 그런 숫자는 굴착기에 달린 바가지의 용량을 말한다. 바가지는 전문 용어로 버킷이라고 부른다. 현장가니까 다들 바가지 바가지 하는것 같다. 숫자의 의미는 루베(㎥..
2022.01.11 -
3톤미만 굴착기와 지게차 무시험 면허 발급
전원주택에 살다 보니 땅을 팔일이 너무 많다. 땅을 파는 것도 있지만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자면 밭을 갈아 업는 일.. 봄이나 가을에 주로 많은데, 봄에는 땅이 녹을때 까지 기다렸다가 하면 되는데, 가을에는 풀이 많이 자라서 삽으로 일일이 갈아 업는 게 아주 힘들다, 물론 제초 작업 겸 하기도 하지만, 몇 삽 뜨고 나면 지친다, 그래서 미니 굴착기가 있으면 했는데 알아보니까 1톤 미만 굴착기는 귀엽기도 하고 면허도 필요 없고 좋아 보였다, 사람 욕심이라는 것이 1톤은 운전 잘못하면 넘어지는 경우도 있다고 해서 1.7톤을 알아봤는데,,, 이런,,, 건설기계 조정사 면허가 필요하다. 3톤 미만은 조종사 면허가 필요하다. 그리고 자동차처럼 등록해야 된다. 번호판이 나온다. 주기적으로 정기 검사도 받아야 된..
2022.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