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형 블로그 광고클릭이나 접속 IP 등 통계가 궁금해서 프로그램을 직접 만듬

2025. 4. 10. 11:44DIY

반응형

많은 분들이 수익형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물론 나도 수익형 블로그 몇 개를 운영 중에 있다.

구글 애널릭틱스를 사용해서 접속 이력이나 광고클릭이나 IP를 추적했었는데, 일단 설정이 복잡하고 용어도 어렵고 가끔 IP 같은 정보가 보일 때가 있고 안 보일 때가 있었다.

그래서 그냥 내가 만들어보면 어떨까 생각했다.

 

내가 궁금한것은

  • 접속 사용자의 IP 주소와 접속 시간
  • 사용자가 내 글을 읽고 머물었던 시간
  • 어떤 글에서 광고를 클릭했는지 
  • 어떤 글이 인기가 있었는지

 

며칠을 분석한 결과 구글 광고는 iframe 방식이라 클릭을 javascript로 알 수 없고 약간의 추정하는 방식으로 알 수 있었다.

즉, 마우스가 iframe 안에 광고를 클릭하면 마우스 포인터를 잃어버린다는 것이다.

그때 광고클릭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단점도 있는데 마우스 우클릭을 해도 동일한 상태가 되니 추정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단점은 나중에 더 연구해서 보안하고 일단 주말을 이용해서 코딩을 시작했다.

블로그 페이지가 로드될 때 iframe 자동으로 로드되는 것을 인지하게 하고 javascript로 blur 이벤트를 걸어 포인터를 잃었을 때 체크하는 방식으로 구현했다.

WAS 서버를 하나 만들고 servlet으로 블로그 script에서 ajax로 접속할 때나 나갈 때, 광고 클릭 예상 지점 등 Data를 전송받아 PostgreSQL에 테이블을 만들고 저장을 한다.

일단 내가 쓸 거지만 보안을 위해 회원가입도 만들고 SSL 인증서도 발급받고 ,,,,

암튼 약 1주일 정도 시간 내서 주말이나 저녁에 코딩을 해서 beta 버전 정도 완성을 하였다.

서버 살 돈은 없어서 집에 있던 구형 노트북에 리눅스를 설치하고 랜선을 물렸다.

 

 

블로그 접속 이력 사이트
블로그 접속 이력 사이트

 

이걸 만들고 약 한 달 정도 내가 직접 써 봤는데, 생각보다 쉽게 통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사용해 보면서 틈틈이 버그도 잡고 새로운 통계도 확인하고 그 방향으로 글도 좀 썼다.

또한 블로그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script를 구현하였다.

 

일단 통계자료 중 1초 미만 접속했다가 화면을 빠져나가는 조회는 통계에서 제외시켰다.

1초 이상은 블로그를 봤을 때만 통계로 잡았다.

 

 

주간 통계
주간 통계

 

차트는 chart.js를 사용해서 1주일간의 조회수를 먼저 화면에 뿌려주고 그래프를 클릭할 때 해당 날짜의 통계가 나오는 방식으로 구현을 했다.

그리고 referer를 확인하여 유입되는 검색어를 group by 해서 어떤 검색어로 내 블로그를 보는지 알 수 있게 했다.

이 사이트는 내가 만든 사이트니까 블로그 도메인을 4개까지 등록을 할 수 있게 하였지만 이번에 사이트를 공개하고 필요에 의해 사용하는 사람들은 2개까지만 등록 가능하게 했다.

 

그래프 막대기 날짜를 클릭하면

통계 화면
통계 화면

외부 유입내용과 페이지별 조회수, 그리고 대망의 구글 광고 클릭 예상치가 나온다.

정상적으로 블로그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대충 맞아떨어졌다.

가끔 다른 경우도 있었지만 클릭 예상의 적중률은 약 70%~80% 정도는 되는 것 같다.

 

 

상세 이력
상세 이력

 

그리고 세부 상세 이력을 마지막으로 언제 접속해서 얼마나 머물렀는지, 광고 클릭과 광고 노출은 얼마나 되는지 등등의 데이터를 보여준다.

 

이걸 만들고 이름을 "Who Clickd"라 지었고 도메인은 

https://xlog.nullpark.com/

 

 

일단 내 서버가 버티는 한 누구나 사용하도록 무로 open을 했다.

위 도메인으로 접속해서 회원가입을 한 후 My Page 메뉴에 들어가서 본인의 도메인을 등록을 하고 화면에 안내된 스크립트 한 줄을 복사해서 본인의 블로그 </html> 바로 위에 넣으면 바로 적용이 되어 모니터링을 시작하게 된다.

 

회원가입은 메일주소와 비번만 있으면 되고 개인정보는 아예 받지 않고 있다.

회원가입을 하면 가입한 메일로 인증키를 보낸다, 인증키를 클릭하면 유효한 메일주소로 판단하고 사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메일주소가 부정확하거나 등록한 사이트가 부정확한 경우 사용을 할 수 없도록 코딩도 했다.

또한 이 사이트를 해킹할 수 없도록 SSL 설치와 포워딩 등 모든 수단이 적용되어 있다.

서버에 접속하여 해킹하려는 시도 또한 방화벽으로 차단을 해 두었다.

 

회원 탈퇴 즉시 해당 계정과 그동안 쌓여있던 데이터는 모두 삭제 처리 하는 방식으로 했다.

시간 날 때 틈틈이 기능을 업데이트해서 수익형 블로그를 운영하는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사이트에 질문 답변 게시판은 없으니 궁금한 것은 메일이나 여기에 댓글을 남기기 바란다.

 

결론

 

본인의 블로그 통계를 추적하고 싶은 경우 https://xlog.nullpark.com/ 에 가입하여 도메인을 등록하고 등록한 도메인의 설정 스크립트를 본인의 블로그 HTML  끝에 붙여 넣으면 된다.

별다른 설정이 필요없다.

 

참고

 

* 내가 가끔 기능 업데이트하는 일이 있을 수 있다. 물론 엄청 자주는 아니고 한 두 달에 5분 정도가 될 것 같은데 서버 리부팅을 하는데 이때는 통계 정보가 수집되지 않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