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Y(69)
-
실리콘의 종류, 실리콘 아무거나 쓰면 안되는 이유
요즘 셀프 인테리어를 하는 개인들이 늘어남에 따라서 인터넷이나 오프라인에서도 쉽게 자재나 공구 또는 부자재 등의 수요가 많아졌다. 그중에서 비교적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은 어떤 것들이 있고, 용도에 맞게 어떤 실리콘을 사용해야 하는지 정리를 해본다. 실리콘의 역할 및 종류 실리콘은 벌어진 틈새를 메우거나 목재나 철재 등을 고정하거나 유리 등의 실링 할 때 등등 많이 사용된다. 또는 도배를 할 때도 특정 부위에 풀이 붙지 않을 때는 도배용 실리콘을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인들이 보기에는 다 똑같은 실리콘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실리콘 종류별로 성분이 다르고 사용처도 다르다. 셀프로 인테리어를 하는 일반인이나 DIY에 취미가 있는 사람이라면 꼭 실리콘의 용도를 확인하고 사용해야 두 번 세 번 보수를 하는 ..
2022.09.15 -
앤더슨 커넥터란
앤더슨 커넥터란, 앤더슨 커넥터 (Anderson Powerpole)는 APP(Anderson Power Products)의 전기 커넥터 제품군이다 이 커넥터의 장점은 높은 전력, 주로 DC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 할 수 있다. 커넥터의 구성상에 암/수 구분이 없고 커넥터를 반대로 꼽을수도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DC 전압의 양극와 음극을 혼돈하여 채결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실수를 방지할 수 있어서 사용할때 비교적 안전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일부 다른 커넥터들도 반대로 채결을 할수 없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고는 하지만 가끔 혼돈해서 반대로 채결이 가능한 경우도 발생한다. 이런점에서 보면 앤더슨 커텍터가 듬직하니 믿음이 가는 부분은 있다. 그리고 이 커넥터는 주로 자동차 또는 태양광 발전 등의 직률 연결..
2022.08.02 -
12v 파워인버터로 전기차 충전하기
전기차에 별도의 에너지 저장공간을 만들었다. 원래 주목적은 태양전지판으로 전기차 안에 설치한 인산철 배터리를 충전하고, 겨울에 DC 히터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자주 충전하면 좋지만 가끔 외근을 나가거나 지방을 다녀올 때는 배터리가 간당간당해서 히터만이라도 전기차 히터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전원으로 차량을 난방을 하기 위함이었다. 몇 개월 동안 계산하고 재료 준비하고 해서 내차에 태양전지판은 설치했고, 인산철 배터리 100A도 달았다. 그런데 여름에는 이 배터리가 항상 만 충상 태이고 이걸 어떻게 활용할까 고민을 했다. 그런다 의문점이 생겼는데 만약 인버터를 사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을까? 매우 궁금해졌다. 그래서 거금을 들여 인버터를 사게 된다... ㅠㅠ 일단 인버터는 12v와 24v 용이 있는데,..
2022.07.19 -
국가별 전기 전압과 주파수, 콘센트 타입 정리
해외여행을 가거나 출장을 갔을때 각 국가별로 콘센트 모양도 다르고 전압도 달라서 정리해봤다. 여행이나 출장 가실 분들은 참고 바라며, 혹시라도 목록에 없는 국가가 있으면 알려주시길,,, 콘센트 타입 참고로 A 타입중에 A1과 A2 의 차이점은 A1은 단자가 수평이고 A2는 단자가 45도로 기울어져 있다. 표: 국가별 전압과 주파수 및 콘센트 타입 해당표에 오류가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전기효율 문제로 인해서,,, 국가별로 다르긴 하지만 110v 대역을 사용하는 일부 국가에서 220v 등으로 국가 기반 전기 인프라를 올리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2022.07.15 -
아이폰 충전 케이블 USB 구조와 DIY
우리 집은 가족 구성원 모두가 애플의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다. 심지어 부모님 폰도 아이폰이다. 처음에 아이폰을 사용하게 된 계기는 안드로이드 폰보다 먼저 출시가 되었고, 출시 당시 앱스토어도 잘 되어 있었을 뿐만 아니라 OS를 만들어 서비스하는 회사가 하드웨어도 설계를 동시에 한다는 점에서 OS와 하드웨어가 제일 최적화되어있는 제품이라고 생각이 되었다. 반면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OS 따로 하드웨어 공급업체 따로 개발이 이루어 지고 있다. 수년 전에 이동형 충전기가 보급되기 전에 나름대로 나는 충전지에 아이폰 이동형 충전기를 만들어서 사용을 했었다. 다른 스마트폰과 충전방식이 아이폰은 다르다 아이폰은 USB 전원의 규칙이 있다 아이폰은 5v 600mA 이상이 되어야 충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2022.06.26 -
태양광, 태양전지판 충전 컨트롤러 MPPT와 PWM 방식 차이점
내가 태양전지판에 관심이 좀 많다 보니 여기저기 얻어온 전지판으로 계통연계도 하고, 차량에 플렉시블 전지판을 설치해서 차에서도 충전하는 등 여러 가지를 하고 있다. 그런데 충전 컨트롤러를 검색하다가 MPPT 방식과 PWM 방식이 있다는 것을 알았고, 둘 다 효율적인 충전을 위한 것인데, 뭐가 다른지 무지 궁금해서 내가 나중에라도 보려고 정리를 한번 하고 간다. MPPT란 Maximum Power Point Tracking의 약자이고 최대 전력 추적 방식이다. 동작방식은 태양전지판에서 오는 전기를 배터리 전압으로 변경하고 전류도 변환하여 충전한다. 그래서 고효율 충전이 가능하고 겨울에도 충전 효율이 월등히 좋다. 그렇다 보니 추운 지역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단점으로는 부품이 많이 들어가서 제품에 열이 발생..
2022.05.12